아프리카 인권헌장과 민중들의 권리
아프리카 단결기구 안에서 결정적인 단계가 1979년 7월 17일부터 20일까지 라이베리아의 몬로비아(Monrovia)에서 개최된 제 16차 국가 정상 정기 모임에서 마련되었다. 이 회의는 여러 국가들의 지원 하에 이루어진 세네갈의 제안에 따라 “아프리카인권헌장”을 계획하고 또 가결한다고 결정했다. 국가정상회의는 아프리카 단결기구 사무총장에게 “아프리카인권헌장의 계획을 구체적으로 실행하기 위해 가능한 조속한 시기에 아프리카 중심도시에서 일정한 수의 전문가들을 소집할 것을 위임했다. 전문가들로 구성된 첫 번째 모임은 1979년 11월 28일부터 12월 8일까지 세네갈의 다카(Dakar)에서 개최되었다. 이모임이 설정한 목표는 아프리카인권보호를 위한 장치를 아프리카 법철학의 기초 위에서 그리고 아프리카국가들의 요구를 고려해서 마련하는 것이었다. 다카의 계획은 1980년 6월에 그리고 1981년 1월에 반줄(Banjul)에서 열린 아프리카 단결기구 법무부장관 회의에 의해서 수정되었고 부분적으로 변형되었다. 이 회의에서는 아프리카 단결기구의 50개의 회원국 가운데 40개국이 참가했다.
법무부 장관들과 아프리카 단결기구 협의회에 의해서 승인된 초고는 1981년 6월 나이로비에서 개최된 제 18차 국가 정상 회의에서 약간의 수정을 하고 난 후에 수용되었다.
물론 정상회의는 이 초고가 최종적으로 마무리된 지역을 고려해서 “인권과 국제법에 관한 반줄헌장”라고 불렀다.
아프리카연합기구의 헌장과 혼돈을 피하기 위함이었다. 그러나 원래의 표현인 “인권과 국제법에 관한 아프리카 헌장”(African Charter on Human and Peoples" Rights)이 관철되었다. 1986년 10월 21일 헌장은 그 효력을 발생했는데 그것은 1986년 6월 21일까지 아프리카 단결기구 50개 회원국이 가입한 이후였다. 1987년 4월 15일 까지 총 35개 국가들이 헌장을 인준했거나 가입했다.
헌장은 총 68개 조항으로 이루어져 있고 세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다. 첫 번째 부분은 법과 의무를 규정하고 있다(1-29), 두 번째 부분은 인권과 민족법의 보호를 위한 일련의 조처들을 명시하고 있다(30-63), 그리고 마지막 세 번째 부분은 일반규정들로 이루어져 있다(64-68). 첫 번째 부분은 두 개의 장으로 세분화되었는데, 인권과 민족법(1-26), 그리고 의무(27-29), 반면에 두 번째 부분은 네 개의 장으로 나뉘어져 있다: 아프리카 인권과 국제법 위원회(30-34), 위원회의 과제(44), 위원회, 각개 국가들의 고시, 그리고 일반 고시 등의 절차(46-59), 그리고 응용할 수 있는 원칙들(60-63). 헌장은 포괄적인 범위를 갖는 전문을 가지고 있다.
법무부 장관들과 아프리카 단결기구 협의회에 의해서 승인된 초고는 1981년 6월 나이로비에서 개최된 제 18차 국가 정상 회의에서 약간의 수정을 하고 난 후에 수용되었다.
물론 정상회의는 이 초고가 최종적으로 마무리된 지역을 고려해서 “인권과 국제법에 관한 반줄헌장”라고 불렀다.
아프리카연합기구의 헌장과 혼돈을 피하기 위함이었다. 그러나 원래의 표현인 “인권과 국제법에 관한 아프리카 헌장”(African Charter on Human and Peoples" Rights)이 관철되었다. 1986년 10월 21일 헌장은 그 효력을 발생했는데 그것은 1986년 6월 21일까지 아프리카 단결기구 50개 회원국이 가입한 이후였다. 1987년 4월 15일 까지 총 35개 국가들이 헌장을 인준했거나 가입했다.
헌장은 총 68개 조항으로 이루어져 있고 세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다. 첫 번째 부분은 법과 의무를 규정하고 있다(1-29), 두 번째 부분은 인권과 민족법의 보호를 위한 일련의 조처들을 명시하고 있다(30-63), 그리고 마지막 세 번째 부분은 일반규정들로 이루어져 있다(64-68). 첫 번째 부분은 두 개의 장으로 세분화되었는데, 인권과 민족법(1-26), 그리고 의무(27-29), 반면에 두 번째 부분은 네 개의 장으로 나뉘어져 있다: 아프리카 인권과 국제법 위원회(30-34), 위원회의 과제(44), 위원회, 각개 국가들의 고시, 그리고 일반 고시 등의 절차(46-59), 그리고 응용할 수 있는 원칙들(60-63). 헌장은 포괄적인 범위를 갖는 전문을 가지고 있다.